- nat 적용
- 취미생활
- openwrt nat table
- 나트랑 여행 경비
- C
- Linux
- nat 정의
- 리눅스
- 자이언트얀
- openwrt nf_conntrack
- 비즈팔찌
- nf_conntrack
- WiFi6
- programmers level2 C
- openwrt nat
- openwrt
- nat table 확인하기
- openwrt netfilter
- C언어
- menuconfig
- 동대문부자재시장
- ubuntu
- 제주도
- WiFi
- 네트워크
- Wireless
- openwrt nat 테이블 확인하기
- 나트랑 일정
- 프로그래머스 c언어
- hostapd
- Today
- Total
Mandoo’s WLAN story
[Network] Serial 통신이란? 본문
Serial통신은 한번에 하나의 정보(1bit)만 보내는 방식, 직렬 통신을 말한다.
비동기 직렬 통신
특징
- 원거리 전송에 유리
- 컴퓨터와 외부 장비 간 통신
- 1bit씩 전송
- 구현 기술이 단순하며 구현 비용이 저렴
- PC의 RS232 포트 사용
- 시시간의 작은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환경
- 산업현장의 각종 장비 간 통신 사용
- Point to Point
데이터 전송방식
1. DTE로 부터 데이터 입력
2. DCE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
3. 통신 채널(전송매체)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전달
4. 통신 채널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DCE에서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
5. DTE로 전달 후 사용자에게 보여줌
* DTE(Data Terminal Equitment) :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비, 데이터를 생성하고 처리 (컴퓨터, Terminal 등 기타 장비)
* DCE(Data Communication Equitment) : 데이터 통신의 알맞는 신호로 변환, 전송매체가 무엇이냐에 따라 그에 알맞는 신호로 변환
- 데이터 전송 단위 : 1bit
- 0,1의 디지털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바꿔어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예를 들면 0은 10볼트 1은 -10볼트)
- 1byte (8bit)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려면 8bit의 데이터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해서 전달해야한다.
- 예를 들면, 107이란 십진수를 2진수로 바꾸면 1101011이다. 이를 한번에 전송하는게 아닌 1bit씩 전달한다.
- 그림으로 표현하자면 아래 그림을 참고해보자!
'Mandoo's IT Stor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IPv4와 IPv6의 차이점 및 구조 (0) | 2025.01.16 |
---|---|
[network] NAT의 실제 활용 (nf_conntrack) (0) | 2024.07.01 |
[Networt] 공인IP, 사설IP 차이점 (0) | 2022.09.13 |